본문 바로가기

금융·경제·정부정책

전세계 기업의 시가총액 순위와 업종별 상위종목 TOP10

전세계 기업의 시가총액 순위와 업종별 상위종목 TOP10

기업의 가치를 매길 때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매기곤 합니다. 시가총액이 높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됩니다. 현재 전세계 글로벌 기업들의 시가총액 순위와 상위종목에는 어떠한 기업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시가총액이란?

시가총액은 상장된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것으로, 주식의 규모와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가 됩니다. 시가총액은 해당기업의 주가에 발행된 주식수를 곱해서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8만원인데, 발행된 주식이 1000개라면 해당 기업의 시가총액은 80,000,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2021년 기준으로 전세계 기업들 중 가장 높은 시가총액을 가진 기업은 어디일까요? 1위부터 10위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시가총액 순위는 2020년 12월 6일에 최종 업데이트된 자료입니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TOP10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1위는 무려 20784억달러(2252조원)의 시가총액을 가진 애플입니다. 스티브 잡스가 죽었을 때, 이런 저런 말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잡스의 철학을 이어받아 애플은 지금도 전세계 최고 기업으로 손 꼽히죠. 주식을 좀 더 매수해야 되나 고민이 되네요^^ 

 

2위는 순위권 내의 기업들 중 개인적으로는 가장 생소한 사우디 아람코라는 기업입니다. 사우디 아람코의 시가총액은 19086억달러(2086조원)입니다. 검색을 통해 찾아보니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석유 기업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석유기업 중 하나입니다. 역시 중동의 석유는 이길 수가 없나 봅니다. 2019년말 자료에서는 10위권 내에 없었던 기업이라 그런지 더욱 놀랍네요.  

 

그 뒤로는 항상 빠지지 않는 마이크로소프트(16206억달러, 1756조원)아마존(15868억달러, 1719조원), 구글(12352억달러, 1338조원), 페이스북(7966억달러, 863조원), 알리바바(7230억달러, 783조원), 텐센트(7279억달러, 789조원) 등이 있습니다. 

 

2020년에 주식이 대박나면서 시가총액이 크게 상승한 테슬라(5678억달러, 615조원)가 9위에 새로 진입한 부분이 눈에 띄며, 버크셔 해서웨이(5422억달러, 587조원)는 10위권 내에서도 상위권에 있던 기업인데 이번에 주식 손실 때문인지 10위로 턱걸이를 했습니다. 

 

10위권 내에 미국기업 7개, 사우디 1개, 중국기업이 2개이며, 우리나라 기업이 하나도 없는 것이 조금 아쉽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분야별 종목별 시가총액 순위 살펴보겠습니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IT · 인터넷 분야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IT·인터넷 분야

IT · 인터넷 분야에서도 애플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리고 반가운 얼굴이 보입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기업 삼성전자가 시가총액 4439억 달러, 한화 481조원으로 9위를 차지했습니다.

 

삼성전자와 TSMC(4717억달러, 511조원), 엔비디아(3357억달러, 363조원)를 제외하면 전세계 시가총액 상위그룹과 별로 다를 것이 없습니다. IT · 인터넷 분야가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충분히 느낄 수 있습니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음료 · 식료품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음료 · 식료품 분야

음료와 식료품분야에서는 귀주 마오타이라는 기업이 3444억달러, 373조원의 시가총액으로 1위에 올랐습니다. 귀주 마오타이는 중국의 주류기업으로 우리나라에서 샤테크를 하듯이, 중국인들은 귀주 마오타이를 사두면 가치가 올라간다고 해서 마테크를 하며, 중국의 국주라 불릴 정도로 브랜드 파워가 엄청난 기업입니다.

 

그 뒤로는 역사가 깊은 네슬레(3200억달러,346조원), 코카콜라(2314억달러,250조원), 맥도날드(1570억달러,170조원), 스타벅스(1200억달러,130조원) 등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자동차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자동차 분야

자동차 분야에서는 전세계 시가총액 9위에 올랐던 테슬라가 1위입니다. 테슬라와 우버(967억달러,104조원), 니오(568억달러,63조원)를 제외하면 자동차는 아직은 역사가 깊은 기업들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강국이라 불리는 독일답게 폭스바겐(932억달러,101조원), 메르세데스 벤츠(911억달러,98조원), 아우디(705억달러,76조원), BMW(584억달러,63조원) 등 무려 4개의 기업이 순위에 올라있습니다. 향후에 드론택시나 자율주행차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교통수단이 많이 출시된다면 지금과는 또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제약 · 바이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제약 · 바이오 분야

제약 바이오 분야에서는 세계적 기업 존슨앤존스가 시가총액 3955억달러, 428조원으로 1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코로나 백신으로 유명한 화이자(2242억달러, 243조원)아스트라제네카(1895억달러,205조원)가 눈에 띕니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투자은행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투자은행 분야

역시 자본주의를 대표하는 미국답게 투자은행 분야에서 무려 8개 기업이 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위인 비자카드(4537억달러, 491조원)을 비롯해 JP모건 체이스(3729억달러,404조원), 뱅크오브아메리카(2537억달러, 274조원) 등이 시가총액 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종목들은 대부분 투자은행 기반인데, 온라인 전자결제 서비스인 페이팔(2551억달러, 276조원)이 5위라는 점도 눈여겨볼만 합니다.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가상화폐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 가상화폐 분야

요즘 아주 큰 이슈가 되고있는 가상화페 시가총액도 함께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가상화폐=비트코인이라고 할 정도로 독보적인 입지를 가진 비트코인이 시가총액 3552억달러, 한화 385조원으로 1위에 올랐습니다.

 

아직 가상화폐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많고,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로 보면 비트코인을 제외하고 평균시가총액은 낮은 편입니다. 비트코인의 상승으로 이번에 비트코인 지수를 따라가는 파생상품들이 출시될 예정이라는 기사를 보았는데, 앞으로 가상화폐도 눈여겨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 종목 잘 보셨나요? 

이 자료는 미스터캡이라는 사이트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미스터캡 사이트]

http://www.mrktcap.com/

만약 10위권밖의 시가총액 종목들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싶다면, 미스터 캡을 한번 방문해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전세계 글로벌기업의 시가총액과 순위를 보고나니 어떤 기업이 인기가 있고, 또 주식을 하게 될때에도 조금 더 참고가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IT분야에 삼성전자가 올라있어서 뿌듯한 마음도 듭니다.

 

10위권 밖이긴 하지만, CJ ENM, 아모레퍼시픽, 이마트, LG생활건강 등 다양한 한국 기업의 이름이 있어서 참 기분이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전세계 시가총액 순위에 우리나라 태극기가 더 많이 휘날리기를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728x90